24절기 하지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이 글에서는 24절기 열 번째 절기 하지(夏至)에 대해 알아봅니다. 아래 본문에서 24절기 하지 뜻 날짜 풍습 속담 음식 등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하지 뜻

하지 뜻 한자로 여름 하(夏) 이를지(至)이며, 직역하면 여름에 이르렀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하지 이후에 더워지기 시작하여 삼복(초복, 중복, 말복) 시기에 가장 덥게 됩니다.

하지 날짜

하지는 24절기 열 번째 절기로, 해가 황도의 하지점을 통과하는 날을 말합니다.

하지점이란?
하지에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 합니다. 북반부에서는 일 년 중 가장 낮이 길며, 남중고도라고 하여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에는 기온이 상승하여 몹시 더워지게 됩니다. 북극지방에서는 하루 종일 해가 지지 않고, 남극에서는 수평선 위로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요. 동지에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하지에 이르러 가장 짧아지게 되고, 반면에 낮은 14시간 35분으로 1년 중 가장 깁니다.

하지 날짜 양력 6월 21일 또는 22일경으로,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듭니다.

24절기 날짜가 매년 다른 이유는 태양의 위치와 지구의 공전 운동에 기반한 천문학적 계산 때문입니다.

24절기는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태양이 하늘에서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를 기준으로, 이 황도를 24등분하여 각 절기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황도 0도에 태양이 위치할 때를 춘분, 15도에 위치할 때를 청명 등으로 정하게 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완전히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24절기 간의 간격은 대부분 15일이지만, 때에 따라 14일 또는 16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양력의 한 해는 365일 또는 366일로 정해지지만, 이는 태양의 실제 위치 변화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매년 절기의 날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매년 달라지는 24절기의 정확한 날짜는 천문학적 계산을 통해 결정되며,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합니다.

옛날 중국에서는 하지 15일을 5일씩 3 후(候)로 나누어 1 후에는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2 후에는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3 후에는 반하(半夏)의 알이 생긴다고 하였습니다.

여름가을겨울
입춘입하입추입동
우수소만처서소설
경칩망종백로대설
춘분하지추분동지
청명소서한로소한
곡우대서상강대한

하지 풍습

하지에는 농가에서는 망종 때 하지 못한 밀, 보리 수확과 마지막 모내기를 하고, 감자, 호박, 오이, 마늘, 양파 등을 수확하는 시기입니다. 농사일로 일 년 중 가장 바쁜 때이자, 장마와 가뭄도 대비해야 하는 시기였습니다.

기우제

이 무렵에 장마가 시작되는데, 만약 하지가 되어도 비가 오지 않으면 이장(里長)이 제관이 되어 용소(龍沼)에 가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습니다. 제물로는 개나 돼지 또는 소를 잡아 그 머리만 물속에 넣었다고 하는데요. 그렇게 하면 용신(龍神)이 그 부정함을 노하여 비를 내려 씻어 내린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나머지 몸통 고기는 기우제에 참가한 사람들이 함께 먹으면서 공동체 의식을 다졌다고 하네요.

단오(端午)

음력 5월 5일을 단오날이라 하여 옛날에는 5대 명절 중에 하나였습니다. 천중절(天中節) 또는 수릿날이라고도 불렀는데요. 원래 이날은 한 해 농사의 풍년을 비는 제삿날로, 단오 차례라고 하여 각 집에서는 이른 아침에 여러 가지 제물을 가묘에 괴고 제사를 지냈습니다.

특히 이날은 연중 가장 양기(陽氣)가 많은 날이라 하여, 고을에서는 중앙에 있는 관리에게 부채를 바쳐 여름의 시작을 알리고, 조정에서는 헌납받은 부채를 하사하였다고 해요. 또한, 궁중의 내의원에서는 제호탕을 만들어 임금에게 바쳤고, 임금은 신하에게 하사하여 여름더위를 막도록 하였습니다.

한편, 민가에서 단오날에는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고 세수를 하였으며, 붉은색이나 초록색의 새 옷을 입었습니다. 남자들은 씨름을 하고, 여자들은 그네뛰기를 하였으며, 기혼여성들은 친정 나들이를 하는 날이기도 했죠.

하지 음식

하지 무렵에 강원도 지역에서는 햇감자를 수확하여 다양한 감자 요리를 해먹었습니다. 또한, 하지는 단오와 관련이 깊어 단오음식을 주로 지어먹었는데, 대표적인 단오 음식으로는 수리취떡, 앵두화채, 준치국, 붕어찜, 제호탕, 앵두편, 도행병, 준치만두 등이 있습니다.

감자전, 감자송편
하지 무렵 강원도 지역에서는 햇감자를 수확합니다. 이때 수확한 감자를 그냥 쪄먹기도 하고, 갈아서 감자전을 만들거나 감자송편 등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수리취떡
수리취나 쑥을 짓이겨 멥쌀가루에 넣어 반죽하고 쪄낸 뒤 쫄깃하게 쳐낸 떡을 말합니다.

제호탕
백청, 오매말, 축사, 초과, 백단향 등 한약재를 분말로 만들어 꿀에 재워두었다가 냉수에 타서 먹는 한방차를 말합니다. 보통 한방차는 물에 달여서 뜨겁게 마시지만, 계절적으로 더운시기인지라 차갑게 마신 것이었죠. 이것을 마시면 여름 내내 더위를 먹지 않고 갈증을 없앤다고 해요.

도행병
도행병(桃杏餠)은 복숭아즙을 내어 쌀가루에 버무려 만든 설기떡을 말하는데, 복숭아와 살구가 무르익었을 때쯤인 초여름에 만들어 먹는 계절식 중에 하나입니다.

앵두편
앵두를 살짝 쪄낸 후 체에 걸러 살만 발라내고, 이것을 설탕과 함께 졸이다가 녹말을 넣어 굳힌 음식입니다.

하지 속담

하지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
하지가 지나면 모심기가 늦어지기 때문에 서둘러 모내기를 해야 했던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하지가 지나면 구름장마다 비가 내린다
하지는 장마철에 접어드는 시기로, 구름만 지나가도 비가 온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하지가 지나면 발을 물꼬에 담그고 산다
하지 무렵에는 대부분 모심기가 끝이 나고 이제 논이 마르지 않게 물을 대주어야 하는데, 이때 부들이 논에 물을 대느라 매우 분주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비슷한 의미가 담긴 속담으로 논농사는 물농사, 논에는 물이 장수가 있습니다.

하짓날은 감자 캐 먹는 날이고 보리 환갑이다
하지가 지나면 보리가 마르고 알이 잘 배지 않고, 감자는 싹이 죽기 때문에 이때 감자와 보리를 수확해야 한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