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입춘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이 글에서는 24절기 첫 번째 절기 입춘(立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래 본문에서 24절기 입춘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등 정보를 확인 해 보세요.

입춘 뜻

입춘 뜻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봄이 선다는 뜻인데, 이것은 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입춘 날짜

입춘은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315도에 드는 때 입니다. 입춘 날짜 양력으로 2월 4일경이며, 음력으로는 정월(1월)에 해당하는데, 섣달에 들기도 하고 정월에 들기도 합니다. 어떤 해는 섣달과 정월에 거듭 들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를 재봉춘(再逢春)이라 합니다.

24절기 날짜가 매년 다른 이유는 태양의 위치와 지구의 공전 운동에 기반한 천문학적 계산 때문입니다.

24절기는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태양이 하늘에서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를 기준으로, 이 황도를 24등분하여 각 절기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황도 0도에 태양이 위치할 때를 춘분, 15도에 위치할 때를 청명 등으로 정하게 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완전히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24절기 간의 간격은 대부분 15일이지만, 때에 따라 14일 또는 16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양력의 한 해는 365일 또는 366일로 정해지지만, 이는 태양의 실제 위치 변화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매년 절기의 날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매년 달라지는 24절기의 정확한 날짜는 천문학적 계산을 통해 결정되며,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합니다.

여름가을겨울
입춘입하입추입동
우수소만처서소설
경칩망종백로대설
춘분하지추분동지
청명소서한로소한
곡우대서상강대한

입춘 날씨

옛 중국에서는 입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1후에는 동풍이 불어서 언땅을 녹이고, 2후에는 동면하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3후에는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입춘 날씨 아직 추위가 강한 시기입니다.

입춘 풍습

입춘은 한 해의 시작이자 정월을 포함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해넘이, 아홉차리, 입춘방, 농사점치기 등 다른 어느 절기보다 많은 풍습이 행해졌습니다.

해넘이
입춘 전날을 절분(節分)이라고 하여 절기의 마지막으로 보았습니다. 입춘 전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고,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귀신을 쫓고 새해를 맞이했다고 해요.

아홉 차리
입춘날이나 대보름 전 날에 베푸는 아홉 차리라는 풍습이 있습니다. 각자 소임에 따라 아홉번씩 부지런하게 일을 되풀이 하면 한해동안 복을 받게되고, 그렇지 않으면 화를 입게 된다고 믿었습니다. 예를들어 글방에 다니는 아이는 천자문을 아홉 번 읽고, 밥을 먹어도 아홉 번, 매를 맞아도 아홉 번을 맞았습니다. 나무꾼은 아홉 짐의 나무를 하며, 노인은 아홉 발의 새끼를 꼽니다. 계집아이는 나물 아홉 바구니를, 아낙들은 빨래 아홉 가지를, 실은 감더라도 아홉 꾸리를 감았습니다. 이것은 부지런히 열심히 살라는 뜻으로 전해진 풍습이며, 아홉 번 한다는 뜻은 우리 조상들이 숫자 9를 가장 좋은 숫자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적선공덕행
입춘날이나 대보름 전날 밤에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착한 일을 꼭 해야 연중 액을 면한다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을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밤중에 몰래 냇물에 가 건너다닐 징검다리를 놓는다든지, 거친 길을 곱게 다듬어 놓는다든지, 다리 밑 거지 움막 앞에 밥 한 솥 지어 갖다 놓는다든지… 등 착한일을 했다고 해요.

농사점 치기(보리뿌리점)
입춘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 번째이기 때문에 보리 뿌리를 뽑아보아 한해 농사가 풍년일지, 흉년일지를 가려보는 농사점을 쳤는데, 이것을 보리뿌리점이라고 합니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습니다.

입춘 굿
제주에서 입춘에 하는 굿을 말하는데요. 한해 농사를 짓는 순서를 흉내내며 풍년을 기원하는 내용의 굿이라고 해요. 옛날 탐라국 시대에 임금이 직접 쟁기를 잡고 백성에게 시범을 보인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신구간
신구간(新舊間)이란 해마다 대한 5일 후부터 입춘 3일 전까지의 기간으로 제주도 고유의 풍습을 말합니다. 한 해에 한 번씩 있는 신들 사이의 인사이동 기간으로, 이때는 땅 위의 모든 신이 옥황상제께 새로운 임무를 부여받고자 하늘로 올라간다고 합니다. 그래서 신들이 없는 시기가 되는데, 이때 이사를 하거나 해 묵은 집수리를 하면 액를 막을 수 있다고 하는 풍습입니다.

입춘수 받아 마시기
입춘수는 입춘 전후에 받아 둔 빗물을 말합니다. 이 물로 술을 빚어 마시면 아들 낳고 싶은 남정네의 기운을 왕성하게 해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입춘방(입춘첩)붙이기
입춘방 또는 입춘첩은 입춘에 대문, 중문, 곳간문, 방문이나 대들보에 써붙이는 글귀를 말합니다. 문구는 지역이나 가정마다 각기 달랐으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문구들이 전해내려오고 있습니다. 특히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은 오늘날까지 가장 많이 쓰이는 문구는 입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고, 새해가 시작됨에 경사스러운 일이 많길 기원

수여산 부여해 (壽如山 富如海)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지기를 기원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고, 자손은 만대가 번영하길 기원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길 기원

입춘 음식

옛날 궁궐에서는 입춘 음식으로 파, 마늘, 자총이, 달래, 평지(유채), 부추, 무릇, 미나리의 새로 돋아난 새순 등을 이용하여 오신채(五辛菜)라는 다섯 가지 매운맛이 나는 모둠 나물을 만들었다고 해요. 임금은 오신채를 진상 받아 사색당쟁을 타파와 화합의 의미로 중신들과 나누어 먹었다고 하는데요. 백성들도 오신채와 같은 나물을 만들어 가족들과 나눠먹으며 이것이 식구들의 화목을 상징하고 인, 의, 예, 지, 신을 북돋는다 여겼습니다.

입춘 속담

흥부집 기둥에 입춘방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추하고 보잘것 없는 집에 입춘방을 써붙인다는 뜻으로, 격에 맞지 않고 지나침을 빗댄 말입니다.

입춘날 무우 순 생채냐
입춘에 먹던 제철음식인 무우 순 생채에 비유하여 맛있거나 신나는 일을 뜻하는 말입니다.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입춘에 장독 깨진다
입춘 추위에 오줌독 깨진다

입춘이 들어 봄이 시작되었지만 아직도 날씨가 춥다는 뜻이 담긴 말입니다.

입춘 거꾸로 붙였나
봄이 왔는데 봄 같지 않다

입춘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날씨가 오히려 더 추워진다는 뜻이 담긴 말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