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24절기 일곱 번째 절기 입하(立夏)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래 본문에서 24절기 입하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등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입하 뜻
입하 뜻 한자로 들 입(立) 여름 하(夏)로, 직역하면 여름에 든다는 뜻입니다. 입하는 초여름을 의미하는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고,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이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입하 날짜
입하는 24절기 일곱 번째이자 여름의 첫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에 든 때입니다. 입하 날짜 양력 5월 6일 또는 7일경으로,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듭니다.
24절기 날짜가 매년 다른 이유는 태양의 위치와 지구의 공전 운동에 기반한 천문학적 계산 때문입니다.
24절기는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태양이 하늘에서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를 기준으로, 이 황도를 24등분하여 각 절기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황도 0도에 태양이 위치할 때를 춘분, 15도에 위치할 때를 청명 등으로 정하게 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완전히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24절기 간의 간격은 대부분 15일이지만, 때에 따라 14일 또는 16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양력의 한 해는 365일 또는 366일로 정해지지만, 이는 태양의 실제 위치 변화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매년 절기의 날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매년 달라지는 24절기의 정확한 날짜는 천문학적 계산을 통해 결정되며,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합니다.
입하 날씨
우리나라에서는 입하 무렵 초여름의 날씨를 보이며, 그간 일교차가 크고 변화 많던 날씨는 안정되고, 산과 들은 초록색으로 뒤덮여 무성하게 자라기 시작합니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1 후에는 청개구리가 울고, 2 후에는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3 후에는 왕과(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습니다.
입하 풍습
입하에는 지난 봄의 마지막 절기인 곡우 때 준비한 모가 한창 자랄 시기입니다. 이때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해충도 번성하고, 잡초까지 자라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풀 뽑기를 하느라 바쁜 시기를 보내게 됩니다.
이팝나무(농사점치기)
입하쯤에는 이팝나무에서 흰 꽃이 피어나는데요. 마치 흰 쌀밥같이 온 나뭇가지를 뒤덮이며 피어나는 이팝나무를 우리 조상들은 쌀밥나무라고 부르며 농사점을 쳤습니다. 이 꽃이 한꺼번에 잘 피면 그 해 풍년이 들고, 그렇지 않으면 흉년이 들 징조라고 여겼다고 해요.
입하 음식
옛날 조상들은 입하 절식으로 쑥무리를 해먹었습니다. 쑥무리는 쌀가루와 쑥을 한데 버무려 시루에 찐 떡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 쑥버무리라고도 해요. 이 외에도 입하에 먹던 전통음식으로는 짱아찌, 무, 오이, 마늘쫑, 더덕, 육포 등이 있습니다.
쑥무리(쑥버무리) 만드는 방법
1. 쑥은 손질하여 깨끗하게 씻어 체에 밭쳐둡니다.
2. 쌀가루도 준비하여 체에 한번 걸러둡니다.
3. 쑥과 쌀가루에 소금, 설탕을 약간 넣고 잘 섞어줍니다.
4. 찜기에 면보를 깔고 3에서 섞어둔 쑥을 올려 쪄줍니다.
5. 젓가락으로 찔렀을때 쌀가루가 묻어 나오지 않으면 완성.
6. 한김 식혀둔 후 먹기 좋은 크기로 접시에 담아 맛있게 먹습니다.
입하 속담
봄에 하루 놀면 겨울에 열흘 굶는다
오뉴월 하루 놀면 동지섣달 열흘 굶는다
농번기에 일을 안 하고 놀면 겨울에 식량이 부족해서 굶게 된다는 뜻으로, 젊어서 놀기 좋아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늙어 큰 대가를 치른다는 의미로도 통하는 속담입니다.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에 바람이 불면 못자리에 뿌려놓은 볍씨가 한쪽으로 몰리게 되어 좋지 않다는 뜻의 속담입니다.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입하 무렵에 모심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농가에서 써레를 싣고 논으로 나오게 된다는 뜻의 속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