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상강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이 글에서는 24절기 열여덟 번째 상강(霜降)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래 본문에서 24절기 상강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등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상강 뜻

상강 뜻 한자로 서리 상(霜) 내릴 강(降)이며, 직역하면 서리가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말 그대로 상강은 서리가 내릴 정도로 기온이 낮아지는 시기입니다.

상강 날짜

상강은 태양의 황경이 210도에 위치한 때를 말하며, 24절기 중에서 18번째, 가을의 마지막 절기로, 한로와 입동 사이에 듭니다. 상강 날짜 양력 10월 23일 또는 10월 24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9월에 듭니다.

24절기 날짜가 매년 다른 이유는 태양의 위치와 지구의 공전 운동에 기반한 천문학적 계산 때문입니다.

24절기는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태양이 하늘에서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를 기준으로, 이 황도를 24등분하여 각 절기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황도 0도에 태양이 위치할 때를 춘분, 15도에 위치할 때를 청명 등으로 정하게 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완전히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24절기 간의 간격은 대부분 15일이지만, 때에 따라 14일 또는 16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양력의 한 해는 365일 또는 366일로 정해지지만, 이는 태양의 실제 위치 변화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매년 절기의 날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매년 달라지는 24절기의 정확한 날짜는 천문학적 계산을 통해 결정되며,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합니다.

여름가을겨울
입춘입하입추입동
우수소만처서소설
경칩망종백로대설
춘분하지추분동지
청명소서한로소한
곡우대서상강대한

상강 날씨

이 시기 날씨는 낮엔 쾌청하고 맑지만, 밤에는 기온이 많이 낮아져 수증기가 얼어붙어 서리가 내리게 됩니다. 옛날 중국에서는 상강 시기를 5일씩 3후로 나누어 1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2후에는 초목이 누렇게 변하며, 3후에는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에 숨는다고 하였습니다.

상강 무렵 한국 날씨는 아침저녁으로 쌀쌀해지기 시작하지만, 낮에는 매우 쾌청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 단풍이 절정을 이루며, 농가에서는 추수가 마무리되고, 동물들은 겨울잠에 들어갈 준비를 합니다.

상강 풍습

둑제(纛祭)
상강에는 둑제라는 국가 제사를 지냈습니다. 둑제는 조선시대 군대를 출동시킬 때 군령권을 상징하는 둑에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음력 2월 경칩무렵과 음력 9월 상강 무렵에 병조판서가 주관하여 제사를 지냈습니다.

마무리 가을걷이
봄부터 바빴던 농사일도 상강 때쯤 되면 거의 마무리 됩니다. 9월 무렵부터 가을 걷이가 시작되는데, 10월 중순 무렵인 상강 이 오면 거의 마무리 됩니다. 농작물 수확을 시작으로 벼베기와 타작, 이모작용 가을보리 씨를 뿌리는 일까지 농사가 마무리 되는 시기입니다.

보리파종
이모작이 가능했던 남부지방에서 상강은 보리 파종을 하는 시기입니다. 한로 상강에 겉보리 파종한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말은 한로때 보리를 파종하는데, 늦어도 상강까지는 마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단풍놀이
단풍은 보통 9월 말에 시작되며,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10월 중순에서 11월초까지 절정을 이룹니다. 산에 피어난 알록달록 오색빛 단풍은 주변 경치와 어우려져 마치 한폭의 그림과 같은 풍경을 만들어 냅니다. 풍류와 술을 좋아했던 옛날 우리 조상들은 상강 무렵, 농사일을 마치고, 단풍과 국화주를 즐겼습니다.

상강 음식

상강 제철 음식으로는 추어탕, 무, 감, 호박, 햅쌀밥, 은행, 국화, 고구마, 땅콩 등이 있습니다.


감은 늦가을(11월말-11월초) 상강 무렵에 수확합니다. 감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여 항산화, 감기예방, 피부미용, 비타민A는 눈 건강, 칼륨은 나트륨을 배출 시켜 혈압을 안정화, 탄닌은 기미 주근깨 같은 잡티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은 생감을 깍아서 먹기도 하고, 홍시나 곶감을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특히 상강 무렵부터 곶감을 말렸는데, 한달 반 정도 지나면 곶감이 되고, 10-15일 정도 덜 말리면 반건시가 됩니다.

국화전, 국화주
조상들은 상강에 단풍놀이 하며 국화주와 국화전을 즐겼습니다. 국화전은 찹쌀 반죽을 둥글고 납작하게 빚어 위에 국화꽃잎을 올리고 식용유에 지져낸 떡(화전)입니다. 경북지역에서 주로 즐겨먹었으며, 지금도 화전이라고 불리는 가을 대표 간식이자 술안주 입니다. 국화는 혈관을 맑게 하고, 감기나 두통,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상강 속담

한로 상강에 겉보리 파종한다
보리는 보통 10월초(한로 무렵)에 파종을 해야 하며, 늦어도 상강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조 이삭은 상강 넘으면 더 안여문다
상강이 지나면 바닷고기에 알이박힌다
제주도 속담으로, 상강지 지나면 곡식이 제대로 여물지 않고, 바닷고기는 맛이 없어진다는 시기로, 상강 무렵 월동준비를 재촉하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상강 90일 두고 모심어도 잡곡보다 낫다
상강 90일 전은 7월 말에 해당합니다. 이때 모내기를 하면 많이 늦은 것이지만, 그럼에도 벼농사가 다른 잡곡보다 낫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벼는 상강전에 베어야 한다
벼는 서리를 맞게 되면 이삭이 부러지고, 수확이 어려우므로, 그전에 추수를 끝내야 한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9월과 10월에는 감서리, 동지섣달에는 닭서리
서리는 주인 몰래 훔치는 것을 말하는데, 여름에는 참외나 수박 같은 과일, 가을에는 감, 겨울에는 닭서리가 유행했음을 의미하는 속담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