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대설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이 글에서는 24절기 스물한 번째 대설(大雪)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래 본문에서 24절기 대설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등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대설 뜻

대설 뜻 한자로 큰 대(大) 눈 설(雪)로이며, 직역하면 큰 눈이라는 뜻이지만, 일 년 중 눈이 가장 많이 오는 때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대설 날짜

대설은 24절기 중에서 21번째, 겨울의 3번째 절기로, 소설과 동지 사이에 듭니다. 대설 날짜 양력 12월 7일 또는 12월 8일 무렵이며, 태양의 황경은 255도에 도달한 때 입니다.

24절기 날짜가 매년 다른 이유는 태양의 위치와 지구의 공전 운동에 기반한 천문학적 계산 때문입니다.

24절기는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후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태양이 하늘에서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를 기준으로, 이 황도를 24등분하여 각 절기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황도 0도에 태양이 위치할 때를 춘분, 15도에 위치할 때를 청명 등으로 정하게 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완전히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24절기 간의 간격은 대부분 15일이지만, 때에 따라 14일 또는 16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양력의 한 해는 365일 또는 366일로 정해지지만, 이는 태양의 실제 위치 변화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매년 절기의 날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매년 달라지는 24절기의 정확한 날짜는 천문학적 계산을 통해 결정되며,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합니다.

여름가을겨울
입춘입하입추입동
우수소만처서소설
경칩망종백로대설
춘분하지추분동지
청명소서한로소한
곡우대서상강대한

대설 날씨

대설은 음력 11월에 들며,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이 시가 눈이 가장 많이 오는 때는 아닙니다. 본래 절기가 중국의 화북지방의 계절 특징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와는 맞지 않습니다.

옛 중국에서는 대설부터 동지까지 시기를 5일씩 3후로 나누어 1후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2후에는 범이 교미를 하여 새끼를 치며, 3후에는 여지나무가 돋아난다 하였습니다. 이 내용은 19세기 중엽 소당 김형수의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때는 바야흐로 한겨울 11월이라
대설과 동지 두 절기 있네
이달에는 호랑이 교미하고 사슴뿔 빠지며
갈단새(산새의 하나) 울지 않고 지렁이는 칩거하며
염교(옛날 부추)는 싹이 나고 마른 샘이 움직이니
몸은 비록 한가하나 입은 궁금하네
……(하략)……

대설 풍습

농한기
농가에서 대설 무렵에는 농사일을 모두 끝내고 한가한 시기였습니다. 곳간에는 지난 가을에 준비해둔 식량이 쌓여 있기 때문에 당분간 끼니 걱정 할 일 없이 휴식을 취하며,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였습니다.

메주쑤기
대설 무렵, 한 해의 밑천이 되는 장을 만들기 위해 콩을 쑤어 메주를 만들었습니다. 옛 농가에서는 대설에 메주를 쑤면 장이 맛있게 익는다고 하여 정성을 들여 만들었다고 해요.

대설 음식

대설 제철 음식으로 호박죽, 굴, 고구마 등이 있습니다.

고구마
고구마는 겨울철에 식사대용 또는 간식으로 즐겨먹었던 음식입니다. 고구마는 달달하고 맛이 좋을 뿐더러, 비타민, 식이섬유 등 영양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고구마속 비타민은 겨울철 신경써야 할 면역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며, 한겨울에 신체활동이 줄어들어 살이 찔 수 있는데, 고구마의 식이섬유가 콜레스테롤을 배출하고 소화를 돕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호박죽
가을에 수확해둔 늙은호박을 이용해 겨울 동안 호박죽을 끓여 먹었습니다. 호박에는 베타카로틴이라는 노란색 색소가 풍부해 항산화 효과와 면역력을 높이는데 좋습니다.


굴은 바다의 우유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가가 높은 식품중 하나입니다. 굴에는 단백질, 철분이 풍부하여 성장기 어린이나 빈혈에 좋으며, 아연이 풍부해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여주어 스태미나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굴속에는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어 간 기능을 유지하고 개선하여 겨울철 피로를 회복하고 숙취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설 속담

눈은 보리이불
눈이 많이 오면 풍년든다
농촌에서는 대설에 눈이 많이 오면 보리가 풍년이 들고,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다고 여겼습니다. 눈이 많이 오면 눈이 보리를 덮어 오히려 보온효과가 있으므로, 동해를 적게 입어 보리풍년이 들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